[AWS] EC2 Burst

🔠 AWS EC2에서 ‘Burst’ 기능은 특정 인스턴스 유형에서 CPU 크레딧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추가 성능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AWS EC2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가상 서버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라고 하는것은 EC2의 설정한 성능을 더 필요로 할 때 동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뜻이다. AWS EC2에서 성능을 확장하는 방법은 … Read more

[Sprint]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학습 목표 # 해결 과제 1. nginx 인그레스 컨트롤러 설치 Helm을 이용해서 설치합니다. (minikube addon을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때 nginx 인그레스 컨트롤러가 프로메테우스용 메트릭을 노출해야 하므로, helm install 과정에서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레퍼런스, 레퍼런스2를 참고해서, 어떤 옵션을 설정해 주어야 프로메테우스에서 nginx의 메트릭을 볼 수 있는지 고민해 보세요. 다음과 같이 환경설정을 지정할 수 … Read more

Service Level

🔠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과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고객이 기업과의 서비스 거래에서 기대하는 요구사항과 비교하여 얼마나 만족스러운 서비스가 제공되었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SLA(Service Level Agreement) 🔠 가동 시간, 대응 및 책임과 같은 측정 가능한 메트릭에 대한 공급자와 고객 간의 계약입니다. SLA는 신뢰를 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IT 팀과 고객 간의 기본 계약입니다. 이를 통해 … Read more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Push 와 Pull 구성의 차이

🔠 특정 시스템, 장치, 환경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시각화를 제공합니다. 💡 모니터링이란? 메트릭은 시스템의 데이터를 나타내지만 모니터링은 이러한 값을 수집, 집계 및 분석하여 구성 요소의 특성 및 동작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시각화를 제공합니다. 측정항목은 개별 값이나 표로 표시하고 이해할 수 있지만 정보가 시각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 Read more

[Sprint] Auto Scaling + CloudWatch를 이용한 알림

# 학습 목표 # 해결 과제 시작 템플릿 구성 ASG를 위한 시작 템플릿 구성은 다음을 따릅니다. CloudWatch와 조정 정책 기타 과제 이미지 예시 # 실습 자료 Lambda 함수 코드 : sns_to_discord.py # 과제 항목별 진행 상황 1. 시작 템플릿 생성 2. Auto Scaling 그룹 생성 3. Auto Scaling 그룹 동적 크기 조정 정책 생성 EC2 … Read more

[AWS] Cloud Watch

🔠 AWS 리소스 및 AWS 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CloudWatch 모니터링합니다. CloudWatch는 기본적으로 지표 리포지토리입니다. Amazon EC2와 같은 AWS 서비스는 지표를 리포지토리에 저장하므로 이러한 지표를 기반으로 통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지정 지표를 리포지토리에 저장하면 해당 지표에 대한 통계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의 동작과 성능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Read more

[AWS] SNS(Simple Notification Service)

🔠 게시자에서 구독자(생산자 및 소비자라고도 함)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서비스, 분산 시스템 및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징 및 모바일 알림서비스로 사용합니다. Publisher(게시자 | 발행자 | 생산자) 위의 그림의 예처럼 SNS로 Publish한 Application의 메세지를 (Topic)주제로 하여 다른 구독자 즉, Application, 개인알림(Email, Mobile 등) 으로 Fan-Out~을 펼치다하는 Push형 서비스(Consumer 에서 Pull 또는 Polling할 필요가 … Read more

[AWS] SQS(Simple Queue Service)

🔠 AWS에서 제일 오래된 완전 관리형 서비스(사용자가 Infran나 system을 직점 관리 할 필요가 없음) 고 메시지 대기 서비스이며 분산 메시징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 매월 처음 100만 건의 요청은 무료이며 Amazon S3 및 KMS와 상호 작용 시 S3스토리지, KMS에 대해서 요금 발생이 된다. SQS를 사용하는 이유는? 💡 SQ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On-premise(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메시지 … Read more

[Project] Serverless Framework를 이용하여 자동 재고 확보 시스템 구현하기

프로젝트 개요 📑 AWS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느슨하게 연결된(loosely coupled) 애플리케이션 아키택처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며 요구사항에 따라 인프라를 구현 💡 loose coupling(느슨한 결합) 이란?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에게 최소한의 의존성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디자인 원칙입니다. 이를 통해 각 구성 요소는 독립적으로 개발, 배포 및 확장될 수 있으며, 변경 사항이 다른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 Read more

kubernetes

🔠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 등장 배경 전통적인 배포로 여러 물리 서버에서 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을 하였으며 리소스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비용 부담이 컸었다. 이것을 해결하고자 물리 서버 안에서 여러 가상 시스템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하는 가상화가 도입이 되었으며 더 나은 확장성을 제공했다. 하지만 이 가상화 시스템 또한 OS안에서의 불필요한 리소스가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