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kubelet
🔠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 Kubelet은 pod에서 container가 확실하게 동작하도록 관리 probe 컨테이너가 실행된 후에는 kubelet이 container를 주기적으로 진단합니다. 이때 필요한 probe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Handler container 진단은 container가 구현한 handler를 kubelet이 호출해서 실행합니다.
🔠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 Kubelet은 pod에서 container가 확실하게 동작하도록 관리 probe 컨테이너가 실행된 후에는 kubelet이 container를 주기적으로 진단합니다. 이때 필요한 probe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Handler container 진단은 container가 구현한 handler를 kubelet이 호출해서 실행합니다.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오브젝트나 컨트롤러가 어떤 상태여야 하는지를 적용할 때는 YAML형식의 템플릿을 사용합니다. 템플릿에서 하위 필드로 무엇이 있는지 kubectl explain pods 명령으로 확인이 가능하다추가 하위 필드 : kubectl explain pods.spec설명 없이 모든 하위 필드 출력 : kubectl explain pods –recursive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하나를 여러 개 논리적인 단위로 나눠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GitHub : kubectx + kubens ( NameSpace 관련 tool [win사용불가] )
클러스터 안에서 필요한 기능을 실행하는 Pod 네임 스페이스는 Kube-system이며 애드온으로 사요하는 파드들은 디플로이먼트, 리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등으로 관리합니다. Networking Add-On 🔠 쿠버네티스는 클러스터 안에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해 사용할 때 Kube-proxy 이외에 Networking Add-On을 사용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쿠버네티스를 사용한다면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쿠버네티스를 직접 서버에 구성한다면 관련 Networking Add-On을 설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DNS Add-On 🔠 … Read more
쿠버네티스 실행 환경을 관리하며 대표적으로 각 노드의 파드 실행을 관리 Kueblet 🔠 클러스터 안 모든 노드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 pod 컨테이너들의 실행을 직접 관리합니다. Kube-proxy 🔠 쿠버네티스는 클러스터 안에 별도의 가상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관리하며 이 가상 네트워크의 동작을 관리하는 컴포넌트 컨테이너 런타임 🔠 실제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며 가장 많이 알려진 런타임으로 Docker가 있으며 Docker 이외에도 OCIOpen Container … Read more
마스터용 컴포넌트는 실제 클러스터 전체를 관리 etcd 🔠 Extended Distributed Consensus 약자 이며 분산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과 조회를 위한 일관된 키-값 저장소이며 쿠버네티스에서는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합니다. kube-apiserver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이며 클러스터로 온 요청이 유효한지 검증합니다. Kube-scheduler 🔠 현재 클러스터 안에서 자원 할당이 가능한 노드 중 알맞은 … Read more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동작 대부분은 kubctl 명령어로 실행 kubectl [command] [TYPE] [NAME] [flags] kubectl get pods kubectl get services kubectl get deployments kubectl port-forward kubeconfig 환경 변수 kubectl은 기본적으로 $HOME/.kube/config 파일에서 클러스터, 인증, 컨텍스트 정보를 읽어 들입니다.이러한 클러스터 구성 정보를 Kubeconfig 클러스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들은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확인 가능
Kubeadm 🔠쿠버네티스에서 공식 제공하는 클러스터 생성/관리 도구 위 그림은 Kubeadm에서 제공하는 클러스터 고가용성 구조이다.여러 대의 마스터 노드를 구성하고 앞에 로드밸런서를 구성함으로써 워커 노드들이 마스터 노드에 접근할 때는 로드밸런서를 거쳐서 접근합니다. 마스터 노드 1대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로드밸러서에서 다른 마스터 노드로 접근할 수 있게 해서 클러스터의 신뢰성을 유지합니다. Kubespray 🔠 앤서블ansible 기반 서버 환경 설정 자동화 도구 … Read more